본문 바로가기
정보/생활정보

2025년 청년도약계좌 총정리: 변화사항, 가입조건, 신청방법

by 20대 파이어족 2025. 4. 19.

 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로 월 최대 70만원까지 납입하면, 정부가 지원금을 얹어 최대 5천만 원 이상 목돈 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도 청년도약계좌  몇 가지 변화사항에 대해 자세히 다루겠습니다. 

📌 목차

 

청년도약계좌란?

  • 정부+ 개인의 공동 적립 방식으로 5년 후 목돈을 만드는 제도
  • 최대 월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
  •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음

 

2025년도 변화사항

항목 2024년 변경 전 2025년 변경 후
가입 나이 만 19~34세 동일
개인 소득 기준 총 급여 7,500만 원 이하 총 급여 9,600만 원 이하
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 중위소득 200% 이하
정부 지원금 최대 월 40만 원 최대 월 40만 원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  • 나이: 만 19~34세 (병역이행 시 최대 6년 연장)
  • 개인 소득: 총 급여 9,600만 원 이하
  • 가구 소득: 중위소득 200% 이하
  • 가구 재산: 3.8억원 이하
  • 기타: 금융 교육 이수 필요 (금융교육포털) 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
  1. 금융교육 이수
  • 금융교육포털 접속 → 회원가입 후 청년도약계좌 과정 이수

금융교육포털 바로가기

2. 은행 방문 또는 앱 신청

  • 신청 가능 은행: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국민, 기업, 부산, 대구, 광주, 전북은행 등
  • 모바일 신청 시 공인인증서 필요

 

실제 수령액 계산 예시

  • 매달 70만 원 납입 + 정부 지원 40만 원
    → 5년간 총 적립금 약 5,000만 원 이상
  • 소득 수준과 은행 이자율에 따라 상이 (아래 버튼 클릭하여 소득구간 별 기여금 확인)

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알아보기

 

 

자주 묻는 질문(FAQ)

Q.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가능한가요?

A. 아니오. 둘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합니다.

 

Q.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?

A. 본인 납입금은 돌려받지만 정부지원금은 일부 환수될 수 있습니다.

 

Q. 사회초년생인데 가입 가능한가요?

A. 당연히 가능합니다.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기여금이 늘어납니다.

 

 

마무리

 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. 매년 자동이체로 납부만 하면 되기에 재테크 초보도 쉽게 접근이 가능합니다. 2025년도에 가입 조건이 완화된 만큼 작년 대상자가 아니더라도 대상 가능여부 재검토 해보시길 바랍니다. 

 

댓글


} });